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황장애는 무엇이고 치료방법은?


심한 공황발작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다. 공황발작은 예기치 않게 강렬하고 극심한 공포가 갑자기 밀려오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이지 않은 사건, 예를 들어 천재지변이나 사고, 전쟁 등이 일어난 때에 극심한 공포를 느끼는 것은 정상적인 뇌의 반응이다. 그리고 심한 스트레스 등을 받으면 공황발작이 자주 일어나므로 이런 이유라면 빠르게 정신과를 찾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예기치 않게 아무런 유발요인 없이 느닷없이 발생하거나 일상생활에서의 사소한 유발상황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한 불안증상과 발작이 일어나는 것을 '공황발작'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공황장애 환자는 첫 공황발작 시, 심박이 매우 가쁘게 뛰고, 호흡이 곤란해지는데, 이는 공황발작에 동반되는 과호흡증후군의 한 증상이므로, 응급실을 찾기보다는 봉투호흡법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공황장애가 무서운 점은, 공황발작도 견디기 힘든데 거기서 오는 예기불안이 환자들을 미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게 왜 무섭냐면 공황발작은 불특정 상황에서 예기치 않게 발병하는 경우가 흔한데, 운전 중에 발생하거나 특정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 등에게 발병함으로써 나 자신과 타인이 위험해질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 해당되면 일상생활에서나 직장생활에서 언제 또 발작이 올지 모르는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가 없게 되고, 어떤 식으로든지 행동에 변화가 온다. 특히 부정맥과의 관계가 두드러지는데 부정맥이 심리적인 불안감을 일으켜 공황장애를 동반하거나, 공황장애인줄 알았는데 부정맥 증상인 경우거나 하는 식이다. 정확한 진단을 받기 전까지는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위급 상황에서의 대처를 어렵게 만들곤 한다.


예컨대 많은 사람들이 평상시 길을 걷다가, 직장이나 집에서 일을 하다가 공황발작이 갑작스럽게 발병하여 119로 실려오는데, 그 전까진 정말 죽을 것 같았는데 도착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멀쩡해진다. 공황장애로 진단받으면 "그래도 몸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구나"라는 생각과, 실제로 몸이 안좋아지더라도 병원에 가야할지 고민하게 만드는, 정말 여러가지로 사람 환장하게 만드는 질병이다.


치료 방법


검사를 통해 공황장애로 진단받으면 항우울제, 항불안제 같은 약물을 복용하면 대부분 호전되나, 약물치료만으로 100% 완치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그래서 약물치료와 더불어 인지행동치료를 권하고 있다. 공황장애는 내가 죽거나 내가 심장이 멈추거나(공황장애를 가진 사람이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과 같다) 그러지 않으므로 평소에 내 자신이 건강하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하는 것이 인지행동치료의 첫 걸음이다.


인지행동치료의 예로는 버스 타는 것에 공포를 느끼면 그 버스를 계속적으로 타면서 내가 아무것도 무서울게 없다는걸 인지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하다보면 자신이 걸린 불치병 글이 있는데 내가 증상이 비슷하다고 느끼는 "건강염려증"이 있다. 인지행동치료 목적으로 그런 글을 계속해서 읽는다면 상관없지만 상태가 많이 호전되기 전까지는 인터넷으로 공황장애를 치거나 유튜브에 '이런 증상이 있으면 신체에 큰 일' 동영상은 최대한 거르도록 하자.


자신이 공황장애라면 운동은 뗄레야 뗄 수없는데 처음에는 격한 운동은 자제하고 정신건강에 필수 조깅이라든지 많이 힘들다면 걷기에서부터 시작해 서서히 운동강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처음 헬스장에 가면 그곳에서도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공황장애 대다수가 과호흡증후군을 겪는데 이 같은 경우 복식호흡을 알아 두는 것이 좋다.


항불안제인 벤조디아제핀 관련 약을 복용하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함을 쉽게 느끼는 후유증도 있다. 하지만 졸리다고 커피를 먹는 행동은 금하는 것이 좋다. 커피에 있는 카페인때문에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들어서 불안한 증상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그러면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또 약을 먹고, 나른하니 카페인을 섭취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카페인이 원인이기 때문에 커피뿐만이 아니라 핫식스, 레드불 등의 에너지 드링크류도 마찬가지이며, 녹차도 카페인이 들어있기 때문에 공황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되도록 먹지 않는게 좋다. 술, 담배, 커피는 내가 늙어 죽는 순간까지 공황장애에 시달리거나 더 나아가 더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가급적이 아니라 끊는게 좋다. 이상민의 경우 과도한 스케줄을 소화해내기 위해 커피를 많이 마시다가 공황장애에 이어 건망증으로 더 고생하고 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OH65UL06Y/


정신계통 약을 복용하면 당연히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외상에 비해 치료기간도 길어 의사에 대한 불신이나 약에 대한 공포감이나 약에 공포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가급적이면 의사(정신과)의 상담하며 처방에 따라야 한다.


병원 검사에서 몸에 아무이상 없이 공황장애라면 마음가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어나지도 않을 일에 대한 걱정을 최대한 자제하려고 노력해보고 완치를 목표를 두는 것보다 되돌아보면 자신이 어떤 일을 했을 때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게 하는 취미생활등을 목표를 정해놓는 것이 좋다. 그림이나 소설쓰기, 십자수, 악기연주등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태원 클라쓰 OST 목록  (0) 2020.05.11
드라마 인간수업 1화 줄거리  (0) 2020.05.11
타인은 지옥이다 드라마  (0) 2020.04.24
호텔 델루나 드라마  (0) 2020.04.23
수박의 효능 6가지  (0) 2020.04.21